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발레이야기3

돈키호테 돈키호테 (Don Quixote)- 세르반테스의 원작 소설을 바탕으로 1869년 볼쇼이 극장에서 초연된 이 작품은 유쾌하고 화려한 희극 발레의 대표작으로 손꼽히며, 경쾌한 스페인 민속춤과 발레를 접목시킨 공연으로 100년이 넘는 시간동안 사랑받는 작품이다. 돈키호테~ 돈키호테 어려서부터 만화로도 접하고 책으로도 접한 돈키호테. 성인이 되고나서 누군가가 막상 '돈키호테 이야기 알아?'라고 물으면 '알지 기사이야기'라고 대답하는게 대부분이다. 그 내용의 전개가 어찌 되는지 속속들이 얘기를 해주는 이가 잘 없다. 돈키호테는 사실 책에서 비춰지는것처럼 '괴짜 기사'는 아닌것 같다. 세르반테스의 책을 읽어본 사람이라면 유쾌한 이야기 속에 현실을 비판하는 내용이 숨겨져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내가 여기서 얘기.. 2017. 11. 29.
로미오와 줄리엣 세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은 연국, 영화, 음악 등 다양한 장르로 변용됐고, 지금 까지도 대중에게 큰 사랑을 받는 작품이다. 그 중 발레는 러시아 작곡가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가 1935년 발레음악을 완성하면서 활발하게 창작되기 시작했다. 80여 가지에 이른다고 알려진 무용 '로미오와 줄리엣'..원작과 같은 느낌으로 공연을 할 때도 많지만 이렇게 여러가지 버젼이 있는 걸 보면 무엇이 가장 완성도 높은 로미오와 줄리엣인지 요즘 시대 사람인 나로써는 판단하기가 참으로 어렵다. 다만 내가 같은 제목의 공연을 모던발레, 클래식발레 등 다양한 버전으로 관람했을 때 가장 느낌이 좋았던 건 역시나 발레는 클래식 발레였다는 것이다. 오늘은 영화로도 한번씩은 접했을 만한 로미오와 줄리엣의 내용에 대해 발레 스토리로 .. 2017. 11. 24.
라 바야데르 라 바야데르 (La Bayadere) 라 바야데르는 루드비히 밍쿠스의 음악에 맞춰 프랑스 안무가 '마리우스 프티파'에 의해 본래 4막 7장으로 공연 된 발레 작품이다. 바야데르는 '인도의 무희'를 뜻한다. 이 작품은 특히 프리마 발레리나 인 예카테리나 바잼(Yekaterina Vazem)의 자선 공연을 위하여 상연되었다. 러시아 황실 발레단(현 마린스키 발레단)이 상트페테르부르크, 볼쇼이 극장에서 1877년 2월 4일에 초연하였다.     '망령의 왕국'이라고 불리는 이 작품의 한 장면은 모든 고전 발레에서 가장 유명한 부분 중에 하나이다. 사원의 아픔다운 무희 '니키아', 권력과 사랑에서 갈등하는 젊은 전사 '솔로르', 매혹적이고 간교한 '감자티'의 배신과 복수, 용서와 사랑이 극적인 드라마로 펼쳐진다.. 2017. 11. 18.
반응형